국제사회의 재생에너지 사업 자금 조달 현황과 시사점 (Catalyzing Investment for Renewable Energy in Developing Countries: Experiences and Future Tasks)

111 Pages Posted: 25 May 2016

See all articles by Jin-Young Moon

Jin-Young Moon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Jihei So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eojin Le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Date Written: December 30, 2015

Abstract

Korean Abstract: 2015년 9월 개최된 유엔 지속가능정상회의는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주요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국제사회는 2020년 신기후체제 출범을 앞두고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개도국은 경제발전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의 활용을 크게 확대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속적이고 활발한 투자와 재원확보를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우리나라는 민간기업과 개발금융기관, 국제기구, 공공기관 등과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효과적인 개도국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점협력국에서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재원조달 지원방안에 초점을 둔다. 우리나라의 다수 중점협력국이 재생에너지 개발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고 개도국의 재생에너지 사업에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제공된 국제 지원 사례를 유형별로 검토한 후, 우리나라의 추진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및 재원조달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지난 5년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는 점차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에너지 투자의 주요 동인이 되는 현지 에너지 수요와 제도적 기반환경이 중국과 인도, 남아공, 브라질을 중심으로 하는 개도국에서 보다 우호적으로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국가는 한편 지난 5년 동안 재생에너지 원자재 R&D 및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통해 재생에너지 시장을 크게 확대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IRENA의 태양에너지 및 풍력, 지열에너지 잠재력 평가에 따르면 캄보디아와 방글라데시, 파라과이를 제외한 우리나라의 중점협력국 대부분이 두 개 이상의 재생에너지원에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점협력국 다수는 높은 개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제도, 시장 성숙도, 인식도 등의 기반환경 부재로 인해 충분한 개발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중점협력국은 현재 법규제, 시장, 인식도 등의 기반환경을 개선하는 과정에 있으며, 따라서 장기적인 시각에서 볼 때 이들 국가에 대해 재생에너지의 활용과 개발 및 투자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후략).

English Abstract: At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2015, the Member States unanimously adopted seventee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mong them, SDG 7 calls for substantial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use. In addition, under the UN Framework Convention for Climate Change, individual countries - developed and developing alike – will work to further encourage and disseminat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in order to meet their commitment on greenhouse gas reduction. Especially for developing countries,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will become a key for sustainable growth for they now face a dual challenge of pursu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Since participation from various stakeholder is imperative for sustained yet sizable investment, Korea must seek a proactive strategy in pursuing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In doing so, collaborating with various partners, especially the private sector, is extremely important. This study focuses on mobilizing private sector resource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in Korea’s priority partner countries. While a number of Korea’s priority partners possess considerable potential i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the lack of institutions, market and awareness have hindered development. The study highlights the fact that renewable energy investment is shifting towards the global South and that the main cause of such transition is the favorable regulatory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significant demand. In several emerging economies with the highest amount of renewable investment - namely, China, India, South Africa and Brazil - such transition was coupled with governments’ support for technology R&D and subsidies. On the other hand, Vietnam and Indonesia are in the process of actively developing a more conducive environment. That is, laws and regulations, market readiness and awareness regarding renewable energy are being developed. Therefore, we expect rapid progress in relevant investment, development and deployment in these countries in terms of renewable energy in the near future. (The rest omitted).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Keywords: Economic Cooperation, Energy Industry, Renewable Energy, ODA, International Cooper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Suggested Citation

Moon, Jin-Young and Song, Jihei and Lee, Seojin, 국제사회의 재생에너지 사업 자금 조달 현황과 시사점 (Catalyzing Investment for Renewable Energy in Developing Countries: Experiences and Future Tasks) (December 30, 2015). KIEP Research Paper No. Policy References-15-12,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2783575 or http://dx.doi.org/10.2139/ssrn.2783575

Jin-Young Moon (Contact Autho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Jihei So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Seojin Lee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Do you have negative results from your research you’d like to share?

Paper statistics

Downloads
79
Abstract Views
747
Rank
555,601
PlumX Met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