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중간재 교역 결정요인과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d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s of Korea's Intermediate Goods Trade)

275 Pages Posted: 30 Sep 2013 Last revised: 14 Mar 2015

See all articles by Young Gui Kim

Young Gui Kim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Jungu Ka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yuk-Hwang Kim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Hea-Jung Hyun

Kyung Hee University

Date Written: December 30, 2011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중간재 교역(intermediate input trade)이 차지하는 비중은 자본재 및 소비재 교역의 비중보다 높다. 선진국들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간재 교역은 상품무역의 약 56%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기업뿐 아니라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 따른 수직적 분업 및 글로벌 아웃소싱 증가에 상당 부분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교역대상국별로 차이는 있으나, 중간재 교역이 전체 수출의 50%, 수입의 7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중간재 교역은 중국, 일본, ASEAN 등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생산분업구조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중국과 일본은 각각 한국에 제1의 중간재 수출국과 수입국이며, ASEAN 지역 역시 한ㆍASEAN FTA 이후 주요 중간재 교역대상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높은 중간재 교역비중과 주요 중간재 교역대상국과의 밀접한 국제 생산분할구조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과 비중에 비해 아직까지 한국의 중간재 교역에 관한 종합적이고 다양한 분석을 시도한 연구결과는 매우 드문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간재 교역 현황, 결정요인, 산업연관구조 및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중간재 교역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관련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대세계 전체 수출입에서 중간재 수출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0%와 70%를 상회하는 수준에서 안정적인 비중을 나타내고 있으며, 중간재 교역의 무역수지는 계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2004년 290억 달러에서 2009년 현재 469억 달러로 최근 적자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간재 수출은 중국이, 수입은 일본이 제1의 교역상대국이다. 이 외에도 ASEAN 5, 홍콩 등과의 교역에서 중간재 교역비중이 높은 편이다. 산업별로는, 중간재 수출은 전기기기 제조업과 화학제품 제조업에서, 중간재 수입은 광업과 전기기기 제조업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중간재 교역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설명변수뿐 아니라 비교우위변수와 제도수준변수도 중간재 교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리적 요인, 관세나 운송비, 비교우위요인 등은 최종재 교역보다 중간재 교역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중간재 교역 결정요인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는데, 특히 한국은 자본집약도가 높고 관계특정성이 높은 산업에서 중간재와 최종재 수출이 활발했다. 수입의 경우에도 한국은 자본부존도가 높은 국가로부터 자본집약도가 높은 재화를, 또 법적 제도수준이 높은 국가에서 관계특정성이 높은 산업의 재화를 수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의 산업 생산에서 수입중간재 투입내역을 파악하고, 산업별 중간재의 수입유발효과와 국내 최종수요에 대응한 중간재 수입유발액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기간(2000~09년) 동안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입중간재에서는 제조업 투입계수가, 국내중간재에서는 서비스업 투입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기간 동안 우리나라 수출주력산업에서의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크게 증가하여 수출이 늘수록 중간재의 수입이 더욱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각 산업은 평균적으로 최종수요 1억 원을 충족하기 위해 약 0.3억 원 이상의 직간접적인 중간재 수입이 유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국내 소비 또는 투자를 위한 최종수요보다 수출을 위한 최종수요를 충족하는 데 더 많은 중간재 수입이 유발되는 특징도 발견할 수 있었다.

내생적 국제 생산기술 파급효과를 모형에 추가한 연산가능 일반균형분석을 통해 수입중간재의 생산성 파급경로와 효과를 살펴본 결과, 수입중간재 생산성이 국내 경쟁 중간재 산업에 미치는 효과는 기술유형과 해당 수출국과의 교역관계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선진국에서 발생한 기술진보가 수입중간재를 통해 이를 사용하는 국내 최종재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는 해당국과의 수입의존도보다는 수입량에 비례했다. 생산성 파급으로 인한 실질 GDP나 후생 개선효과는 생산성이 파급의 영향을 받는 산업의 연관관계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정책적 제안을 담았다. 첫째는 중간재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제언으로 수입중간재 대체를 위한 국내기술 개발과 적극적인 FDI 유치, 중간재로서의 생산자 서비스에 대한 관심 제고를 들 수 있다. 둘째로는 수출중간재 활성화를 위해 한국의 비교우위강화를 위한 자본 및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제도수준의 제고와 투자환경 개선이다. 마지막으로, 중간재 교역을 고려한 무역정책 수립을 제안했는데, 중간재 교역의 특수성과 현황을 고려한 전략 구축, 한국 비교우위산업에 대한 수준 높은 양허 유도, 기술유형과 산업특성을 고려한 개방전략, 학습효과 증대를 위한 수출증대 노력, 서비스분야의 개방에 대한 관심 제고를 포함하고 있다.

World has grown so rapidly and the amount reached to $27.2 trillion. This is not only because of the multilateral or regional efforts toward free trade but because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global outsourcing.

Korea’s trade volume continues to grow, and achieve $1 trillion and becomes the world’s ninth country in 2011. About 50% of total exports and 70% of total imports are intermediate goods trade. Korea’s intermediate goods trade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division of production structure with China, Japan, ASEAN, and other Asian regions.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bout total trade, while comprehensive studies on Korea’s intermediate goods trade is very rare despite of its importance and weigh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overall understanding on trade in intermediate goods and to present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trends, current situations, the determinants, input-output structure, and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s of Korea’s intermediate goods tr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terminants for World’s intermediate goods trade, not only traditional explanatory variables but comparative advantage variables and institutional variables turn out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Moreover, geographic factors, customs duties, shipping costs, and comparative advantage factors play more important role in intermediate goods trade than final goods trade. We found similar results for Korea’s trade data. Korea mainly exports capital-intensive goods and relation-specific goods. Also Korea imports capital intensive goods from capital abundant countries and does relation-specific goods from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We analyze input structure of imported intermediate in Korea’s industrial production by using industry linkage analysis. For analysis period (from 2000 to 2009), the share of imported intermediate is increasing. On average, each industry requires imported intermediate by 0.03 billion won in order to produce final goods by 0.1 billion won. More imported intermediates are used to produce goods for exporting than for domestic consumption or investment.

We study the productivity effects and spillover path of imported intermediates by using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considering endogenous international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The effects of imported intermediate on domestic competitive sectors depend on technology types and the trade relations with exporting countries. The productivity effects of imported input on final sectors using the imported intermediates are affected not by shares of imports but by amounts of imports. The greater the industry linkage relations of industy affected by imported intermediates’ productivity are, the greater the real GDP growth rate and welfare improvement are.

Based on this analysis, we make three policy proposals. First policy proposal includes domestic technology development for replacing imported inputs, aggressive FDI promotion, and raising concern for producer services as intermediate goods to mitigate the dependency on imported intermediate goods. Second, we propose investment in human capital, enhancement of institutional level, and improvement of investment environment to strengthen the comparative advantage. Last, we recommend to develop trade policy strategy taking intermediate goods trade into consideration. The strategies include inducing high-level concessions for industry with comparative advantage, open strategy considering technology types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creasing efforts toward exporting to enhance learning by exporting effects, and raising interest in opening intermediate service sectors.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Keywords: Intermediate input trade, Intermediate goods trade, Productivity, Bilateral trade

Suggested Citation

Kim, Young Gui and Kang, Jungu and Kim, Hyuk-Hwang and Hyun, Hea-Jung, 한국의 중간재 교역 결정요인과 생산성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nd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s of Korea's Intermediate Goods Trade) (December 30, 2011). KIEP Research Paper No. Policy Analysis-11-13,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2321534 or http://dx.doi.org/10.2139/ssrn.2321534

Young Gui Kim (Contact Author)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Jungu Kang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eoul 137-602

Hyuk-Hwang Kim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 email )

[30147] Building C, Sejong National Research Compl
Seoul, 370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Hea-Jung Hyun

Kyung Hee University ( email )

1732, Deogyeong-daero
Giheung-gu
Yongin-si, Gyeonggi-do 446-701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Do you have negative results from your research you’d like to share?

Paper statistics

Downloads
74
Abstract Views
839
Rank
573,886
PlumX Met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