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과정에서의 해외재원조달: 주요 이슈와 정책방안 (External Financing in the Process of Korean Unification: Major Issu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289 Pages Posted: 26 May 2016

See all articles by Hyoungsoo Zang

Hyoungsoo Zang

Hanyang University

Haesik Park

Korea Institute of Finance

Choonwon Park

Hanyang University

Date Written: December 30, 2015

Abstract

Korean Abstract: 통일(과정)에 드는 비용을 ①경제·사회 충격완화를 위한 위기관리비용(제도통합비용 포함), ②북한경제 재건비용, ③소득보전을 위한 재정지출로 구분해본다면, 이 중 북한경제재건 비용을 해외에서 어떻게 조달하느냐가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이다. 소득보전을 위한 재정지출과 위기관리비용은 대부분 정부재정의 투입이 필요한 반면, 북한경제 재건비용은 국내 공적부문 외에도 국제공적부문과 국내외 민간부문이 단독으로 또는 협력하여 재원을 조달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독일 사례를 재검토하여 남북통일의 전제(필수)조건을 제시한다. ①대다수의 북한 주민이 남한과의 통일을 원해야하며, ②이러한 북한 주민의 의사를 북한 정권이 충실히 대변하여야하며, ③마지막으로 한반도 주변국 등 국제사회가 남북한 통일에 협조해야한다(최소한 방해하지 않아야한다). 이 조건들을 검토해보면, 우리는 남북 간 정치적 통일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시사점을 얻는다. 그래서 남북 간 정치적 통일로 가는 남북통일과정 전체에서 해외재원조달을 살펴보는 것이 현실적이다.

본 연구는 남북 간 정치적 통일 이전과 통일임박 시기를 포함하는 남북통일과정 전체에서 해외재원을 어떻게 조달하는 가를 다룬다. 남북통일이 이루어지면 해외재원조달의 주체는 통일 한국정부가 되겠지만, 남북 간 정치적 통일이 달성되기 전의 통일과정에서는 해외재원조달의 주체가 한국 정부 외에도 북한 당국이 됨에 유의해야한다. 다만 통일이 임박해지는 시기에는 남북한 당국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해외재원조달이 가능할 수 있다.

사실 남북 간 성공적인 정치적 통일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의 해외재원조달은 크게 이슈가 될 만한 것이 없다. 말 그대로 이때가 되면 남북통일은 이루어졌고 그것이 다시 과거의 분단 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확고해지면 통일한국 정부는 국내외에서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다. 오히려 통일임박 시기에 접어들었을 때 금융시장을 어떻게 안정시킬 수 있을 것인가가 가장 큰 이슈가 된다. 이 과정에서의 성공여부가 정치적 통일 여부와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히 통일임박 시기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주요 이슈와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후략)

English Abstract: The costs of unification involved in Korean unification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① crisis management costs for alleviating economic and social shocks from unification (including costs of institutional integration), ② reconstruction costs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③ fiscal transfers from the South to the North in the form of income subsidies. We deal with how to secure finances externally for costs of reconstruction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which would be financed by the international private sector or through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We present three pre-conditions for Korean unification after carefully re-examining the German unification process: ① The North Korean people should want unification with the South, ②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ctually representing the wish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should be present in North Korea, and ③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S and China, needs to be cooperative (or at least, not get in each others' way). The main implication of these pre-conditions are that politica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will not be accomplish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us, in suggesting realistic policy recommendations for external financing, we need to look at the entire picture regarding the unification process. After political unification, the Government of a unified Korea will become the subject of external financing, whereas before the unification, North Korean authorities will have the primary rol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matter of fact, there likely will not be any major issues left for external financing following a successful political unification of Korea. For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Korean unification, there should be an interim period of negotiation between the two Korean authorities for addressing major concerns after politica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 a period to be referred to as "the imminent unification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international investors would be uneasy about what would happen after the Korean unification and associated uncertainties. How to maintain the soundness of financial markets in the imminent unification period will be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course of Korean unification. We present policy recommendations for it.

(The rest omitted)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Keywords: Economic Cooperation, Economy-North Korea, Korean Reunification, Overseas Sources, Korea, North Korea

Suggested Citation

Zang, Hyoungsoo and Park, Haesik and Park, Choonwon, 남북통일과정에서의 해외재원조달: 주요 이슈와 정책방안 (External Financing in the Process of Korean Unification: Major Issu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December 30, 2015). KIEP Research Paper No. Policy Analysis-15-38 ,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2782285 or http://dx.doi.org/10.2139/ssrn.2782285

Hyoungsoo Zang (Contact Author)

Hanyang University ( email )

Seoul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Haesik Park

Korea Institute of Finance ( email )

4-1 Myung-dong 1-ga
Seoul 100-021
United States

Choonwon Park

Hanyang University ( email )

Seoul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Do you have negative results from your research you’d like to share?

Paper statistics

Downloads
47
Abstract Views
685
PlumX Met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