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기를 고려한 내재 유동성 추정 (Implied Liquidity Estimation)

38 Pages Posted: 2 Oct 2015

See all articles by Joon Myung Woo

Joon Myung Woo

The Bank of Korea; Bank of Korea - Economic Research Institute

Jieun Lee

The Bank of Korea; Bank of Korea - Economic Research Institute

Date Written: October 2, 2015

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통화량 지표(M2, LF)와 함께 내생적 통화이론에서 중시하는 금융기관의 신용(credit, 예금은행 대출금)까지 포함한 다수의 유동성 지표로부터 실물경기를 반영하는 내재 유동성을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내재유동성을 이용하여 시중 유동성(M2, LF, 예금은행 대출) 상황을 판단해 보았으며, 거시변수와의 관계 및 대체모형을 이용한 강건석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추정결과를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는 통화량 지표 등 각 유동성의 증가율이 내재 유동성 증가율을 상회하는 가운데 대출 유동성 증가세가 가장 높았으며, 2012년 이후로 내재 유동성 증가율 수준에서 등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기 상승 충격시 유동성 및 내재유동성이 증가하고 주택가격과 인플레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단순한 유동성 증가 충격시 인플레이션보다는 주택가격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일 유동성 지표만을 이용하여 추정하던 유동성 추정모형에 비해 대출부분의 유동성까지 고려하여 내재 유동성을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되며, 본고의 방식을 통해 추정된 내재 유동성은 시중 유동성 상황을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English Abstrac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 on a single liquidity measure, this paper uses three measures of liquidity ― bank credit, M2, Lf ― estimate implied liquidity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ed liquidity and macroeconomic variables.

We find that these liquidity measures, especially bank credit, were greater than the implied liquidity before the financial crisis. They temporarily fell after the crisis due to the delay in economic recovery, and have recently come to move around the implied liquidity. Furthermore, an increase in the implied liquidity during an economic expansion causes housing price appreciation and inflation.

The evidence provided in this paper implies that this new measure can provide a good reference to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actual liquidity deviates from its equilibrium.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Korean.

Keywords: Implied liquidity, Monetary aggregate, Dynamic factor model, Bank credit, Gibbs sampling

JEL Classification: E41, E51

Suggested Citation

Woo, Joon Myung and Lee, Jieun, 실물경기를 고려한 내재 유동성 추정 (Implied Liquidity Estimation) (October 2, 2015). Bank of Korea WP 2015-24,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2668463 or http://dx.doi.org/10.2139/ssrn.2668463

Joon Myung Woo (Contact Author)

The Bank of Korea ( email )

39, Namdaemun-ro, Jung-gu
Seoul, 04531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Bank of Korea - Economic Research Institute ( email )

110, 3-Ga, Namdaemunno, Jung-Gu
Seoul 100-794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Jieun Lee

The Bank of Korea ( email )

110 3-Ga Namdaemunno Jung-Gu
Seoul 100-794, 100-794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82-2-759-5470 (Phone)

Bank of Korea - Economic Research Institute ( email )

110 3-Ga Namdaemunno Jung-Gu
Seoul 100-794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Do you have a job opening that you would like to promote on SSRN?

Paper statistics

Downloads
56
Abstract Views
798
Rank
789,195
PlumX Met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