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제동향 2016. 9 (KDI Monthly Economic Trends 2016. 9)
KDI Monthly Economic Trends 2016. 9
63 Pages Posted: 19 Apr 2017
Date Written: September 5, 2016
Abstract
Korean Abstract: ■ 최근 건설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제외한 경기 전반의 개선 추세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됨.
○ 건설투자는 높은 증가율을 지속하며 내수 전반의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음.
╺ 작년 이후 주택 분양이 크게 확대된 가운데, 최근에는 토목 부문도 개선되면서 건설기성은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관련 선행지표도 양호한 모습
○ 그러나 소매판매가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이후 둔화된 가운데 설비투자와 수출도 부진을 지속하는 등 경기 전반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
╺ 소매판매는 자동차 판매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증가세가 둔화되었고, 설비투자도 기계류 및 운송장비 모두 부진하면서 감소폭이 확대
╺ 수출은 조업일수 확대와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로 전환되었으나, 이러한 일시적 요인을 제외할 경우 여전히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이는 건설업과 ICT 등 일부 산업의 개선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경기 전반의 회복으로 해석하기는 어려움.
English Abstract: - Other than the rapid increase in construction investment, overall economic activities have shown little sign of improvement.
- Growth in construction investment continued to run high, leading the upward momentum in overall domestic demand.
- Amid the continued rapid increase in pre-sale housing from last year, the value of construction completed maintained high growth with recent improvements in civil engineering. Also, relevant leading indicators stayed favorable.
- However, with the expiry of the excise tax cut, retail sales moderated, and facilities investment and exports remained sluggish, indicating no signs of a spread in the economic recovery.
- Retail sales growth moderated on a sharp drop in passenger car sales, and facilities investment declined further on a weakening of both machinery and transport equipment.
- Although exports turned upward owing to more workdays and the based effect, the trend remains in a slump if these temporary factors are adjusted.
- The cyclical component of the coincident composite index advanced quite sharply, owing largely to the improvement in certain sectors, including construction and ICT. Hence, this cannot be interpreted as a recovery of overall economic activities.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available in Korean and English.
Suggested Citation: Suggested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