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제동향 2014. 11 (KDI Monthly Economic Trends 2014. 11)
KDI Monthly Economic Trends 2014. 11
63 Pages Posted: 22 Apr 2017
Date Written: November 6, 2014
Abstract
Korean Abstract: □ 최근 일부 지표가 소폭 개선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 경제는 전반적으로부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주택시장이 부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한편, 수출도 완만한 개선 추세를 시현
╺ 주택 건설, 수주, 가격 등 주택시장과 관련된 지표들은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음.
╺ 대중국 수출이 다소 부진한 상태에 머물러 있으나, 대미국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전체 수출은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음.
○ 그러나 아직까지는 생산 관련 지표의 개선이 미약한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내수 관련 지표도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
╺ 광공업생산이 증가로 전환되고 서비스업생산도 증가세가 소폭 확대되었으나, 기저효과 등을 감안할 때 개선 폭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됨.
╺ 내수도 설비투자가 일시적으로 반등하기는 하였으나, 민간소비 관련 지표의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전반적인 부진이 지속
╺ 아울러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생산 및 내수지표 부진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하며, 전반적인 경기가 부진한 상태에 머물고 있음을 시사
○ 한편, 세계경제를 둘러싼 하방위험이 부각되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었으며, 이에 따른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가 우리 경제의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 최근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의 금리인상, 일본의 추가적인 양적완화 등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변동성이 확대
English Abstract: ○ Indicators have improved slightly, but Korea’s economic growth is deemed to continue at a slow pace.
○ With partial improvement in the housing market, exports exhibited a gradually improving trend.
- Housing market related indicators, including housing construction, orders received and prices, demonstrated an overall recovery.
- Though exports to China has been subdued to some degree, the total exports continued to improve at a modest pace due to the sharply expanded exports to the US.
○ However, production-related indicators have shown only minor improvement, and domestic demand-related indicators remained weak, mainly in private consumption.
- Industrial production turned into an increase and service production expanded at a slightly increased rate. This improvement however is seen tepid, considering the base effect.
- Private consumption-related indicators show subdued growth and facilities investment rebounded temporarily, implying that domestic demand continued to remain depressed.
- The cyclical component of coincident composite index slid little on account of slump in production and domestic demand indicators, implying that overall economic activities have remained weak.
○ Meanwhile, with downside risks looming across the global economy, global financial markets exhibited a heightened volatility, making it impossible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resultant slowdown in the global economic growth might pose an obstacle to Korea’s economic recovery.
- Recently, Korea’s financial market experienced a heightened volatility on account of concerns about external uncertainties such as the US ending its tapering and Japan accelerating its monetary expansion.
Note: Downloadable document is in both Korean and English.
Suggested Citation: Suggested Citation